SKC가 2023년 인수한 반도체 장비 및 소재 회사 ISC가 그룹 내 핵심 역할을 맡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SKC의 배당 수익을 책임질 차세대 주자로 ISC가 주목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ISC가 추진 중인 유리기판 소켓 사업과 주주환원 정책이 SKC 재무 안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2024년 3분기까지 SKC가 인식한 배당 수익은 총 1453억 원으로, 전년도 수익인 704억 원보다 106.4%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이는 지난해 SK엔펄스의 유상감자로 인한 수익 1419억 원을 포함한 결과로, 이를 제외하면 실제 배당금 수익은 34억 원에 불과했습니다.
SKC의 배당 수익 감소는 화학 자회사의 부진과 맞물려 있습니다. 화학 경기 침체와 원재료 비용 상승이 지속되면서 SKPIC글로벌과 SK피유코어 등 주요 자회사들이 적자를 기록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SKC의 화학 부문은 2022년 4분기부터 8개 분기 연속 적자를 이어오며 누적 영업손실이 1360억 원에 달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SKC는 SK피유코어 지분 전량 매각과 SK엔펄스 사업부 일부 매각을 통해 재무구조 개선을 진행했습니다. 동시에 안정적인 배당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새로운 사업 육성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SKC가 2023년 10월 5225억 원을 투자해 지분 45.03%를 확보한 ISC는 유리기판 소켓 사업의 성장 가능성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ISC는 반도체 패키지 공정에서 제품의 불량 여부를 확인하는 테스트 소켓을 제조하며, 유리기판 소켓 개발을 통해 시장 확장에 나서고 있습니다.
ISC는 2027년까지 자기자본이익률(ROE)을 20%로 상향하고, 배당 및 자사주 매입을 포함한 총주주환원율을 30%로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그러나 ISC의 2024년 예상 배당 수익은 74억 원으로, 기존 화학 자회사들의 배당 수익 규모를 완전히 대체하기에는 시간이 필요할 전망입니다.
SKC 관계자는 “반도체와 이차전지를 중심으로 대규모 인수합병(M&A) 및 사업 구조 개편을 통해 기업 가치를 높여나가겠다”며 “리밸런싱 전략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재무구조 개선과 유동성 확보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SKC와 ISC: 변화하는 미래를 향한 투자 이야기
핵심 정리:
- SKC의 변화: 기존 화학 사업의 부진으로 배당 수익이 감소하자, SKC는 반도체 소재 사업으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 ISC의 역할: 2023년 인수한 ISC는 유리기판 소켓 사업을 통해 SKC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ISC의 성장 가능성: ISC는 높은 성장률과 함께 주주환원 정책을 강화하여 SKC의 배당을 늘리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단기적인 한계와 미래 전망: ISC가 단기간에 화학 사업의 빈자리를 완전히 메우기는 어렵지만, 장기적으로는 SKC의 성장을 이끌 것으로 전망됩니다.
- SKC의 미래: SKC는 지속적인 리밸런싱을 통해 반도체, 이차전지 등 미래 성장 산업에 집중하여 기업 가치를 높여나갈 계획입니다.
심층 분석:
- 왜 ISC인가?
- 성장 가능성: 반도체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함께 유리기판 소켓 시장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기술력: 앱솔릭스와의 협력을 통해 차별화된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주주환원 정책: 높은 ROE 달성과 함께 적극적인 주주환원 정책을 통해 투자자 가치를 높이고 있습니다.
- SKC의 미래 전략:
- 사업 포트폴리오 재편: 화학 사업에서 반도체, 이차전지 등 미래 성장 산업으로 사업 중심을 이동하고 있습니다.
- M&A 활성화: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M&A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주주 가치 제고: 배당 확대, 자사주 매입 등을 통해 주주 가치를 지속적으로 높여나갈 것입니다.
- 투자 시 고려 사항:
- 반도체 시장 변동성: 반도체 시장의 경기 변동에 따른 실적 변동 가능성
- 경쟁 심화: 경쟁 업체들의 기술 개발 및 시장 진출 가능성
- 기술 변화: 반도체 기술의 빠른 변화에 대한 대응 능력
결론:
SKC의 ISC 인수는 단순한 기업 인수를 넘어, 미래 성장을 위한 중요한 전략적 결정입니다. ISC의 성장과 함께 SKC는 반도체 소재 시장에서 새로운 강자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투자 결정을 내리기 전에 위에서 언급된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전문가의 의견을 참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SKC #ISC #반도체소재 #유리기판소켓 #재무구조개선 #리밸런싱전략 #기업가치제고 #배당수익 #화학경기침체 #반도체산업 #이차전지 #M&A #주주환원정책
'Report > Industry Repo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영테크놀러지, 뇌 수술용 의료 로봇 ‘Geniant Cranial’ FDA 인증 획득 (0) | 2025.01.21 |
---|---|
LG전자, AI와 구독 서비스 결합한 프리미엄 안마의자 '아르테UP' 출시 (7) | 2025.01.20 |
LG전자, B2B 디스플레이 광고 솔루션 'LG DOOH Ads' 출시 (1) | 2025.01.20 |
삼성중공업, LNG운반선 첫 수주로 새해 포문 열다 (0) | 2025.01.20 |
이스타항공의 화물 운송 사업 확장에 대한 추가 분석 및 전망 (1) | 2025.01.18 |